목의 긴장성 근육통

1. 정의

 

목의 뒷부분 근육들이 장시간 긴장상태에 놓이게되어 나타나는 근육통을 말합니다.



2. 원인


목의 긴장성 통증은 지속적으로 한 자세로 작업하는 사람들에게 자주 나타나는 증상입니다. 목 뒷 부분의 근육들은 머리의 무게를 지탱하고 눈을 한 곳에 집중하기 위해 지속적인 긴장상태에 놓여 있습니다. 이러한 긴장은 정상적인 경추의 움직임을 방해하고 근육내 혈액순환 장애를 일으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

사람의 경부()와 견갑부(어깨) 근육은 자는 시간 이외에는 항상 긴장된 상태로 머리를 받치고 있어야 하며, 주로 자세유지근육이 이를 담당하고 있다. 앉은 자세에서는 골반, 요부, 하지의 근육은 부분적으로 휴식을 취할 수 있다. 하지만 경부와 견갑부 근육은 그렇지 못한 상태입니다.

공부를 할 때 목을 푹 숙이고, 컴퓨터 모니터를 향해 목을 쭉 빼고 앉는 것이 습관이 되어있는 경우와 책을 읽거나 업무 도중, 또는 상대방과 이야기를 할 때 습관적으로 턱을 손으로 괴는 경우가 또한 그 예입니다. 


3. 증상


목의 척추뼈 주위에는 여러종류의 근육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손상받거나, 긴장이 생긴 근육의 종류에 따라 증상도 다양하게 나타납니다. 목 근육들은 대부분 어깨나 등 부위에서 시작해 후두부에 부착하기 때문에 목을 포함하여 두통, 견갑부 통증을 동반합니다. 


일반적으로 목이 뻣뻣하고 목을 움직이기가 불편하며, 뒷골이 당기고 쑤시며 어깨나 팔, 그리고 등 허리까지 당기고 결리는 듯한 통증을 호소하게 됩니다. 눈과 귀, 얼굴에 통증을 느끼는 수도 있고 또 담이 든것 같이 이곳 저속으로 돌아다니면서 통증이 유발되기도 합니다. 어떤 환자는 가슴복판이 저리고 답답해지기도 하며 구토 등 복합적인 신경증상이 나타나 신경성 노이로제 환자로 의심받는 경우도 있습니다.

 


4. 치료


치료는 근막통 유발점을 찾아 통증유발점주사로 제거합니다. 근육의 긴장으로 유발된 관절운동 장애에 대해서는 수기요법으로 교정할 수 있습니다. 최근들어 신경근자극술(IMS)로 근육의 기능을 정상화시킬 수 있습니다. 


그러나 치료시기를 놓쳐 만성화되었거나 자주 재발하는 경우 만성 경추부 염좌라고 부를 정도로 악화되면 근육의 과도한 긴장이나 손상으로 인해 목의 인대나 척추뼈 그리고 디스크에도 충격이 전달되고 또 변성을 유발해 관절염이나 변형성 경부 척추증, 또 목디스크 병으로 진행되는 무서운 결과를 초래하기도 합니다. 그러므로 가벼운 통증이라도 방치하면 만성적이고 고질적인 병이 될수 있기때문에 가능하면 빠른 시일내에 약물 치료나 물리요법, 신경근자극술(IMS) 등을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. 치료가 잘 안된다고 자주 재발할 경우에는 통증의 원인이 되는 근육의 혈액순환을 원활히 해주는 치료법이 적용됩니다.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근육의 긴장을 유발시키는 자신의 나쁜자세나 습관을 고쳐야 하며 운동으로 목 근육을 강화시켜 목통증의 예방은 물론 재발되지 않도록 해주어야 합니다.






Posted by 순천 아나파적맥통증의원

순천 조례동에 위치한 아나파적맥통증의원입니다. [원장] 한재오 심장 혈관 흉부 외과 전문의 [전화번호] 061 721 0046 전남 순천시 조례동 1721-8 남강빌딩 5층 아나파적맥통증의원 (국민은행 길 건너편 5층)
순천 아나파적맥통증의원

달력